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너진 중국부동산 신화 잃어버린 40년이 시작되었고 미국의 기회

by 웨더맨 2024. 9. 19.
반응형

무너진 중국부동산 신화 잃어버린 40년이 시작되었고 미국의 기회 
 


 
요즘 매크로 이야기를 할때 
중국을 언급하시는 분들이 많이 없어졌습니다. 
그만큼 중국이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많이 줄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미중 무역전쟁에서 미국에게 패배하고 
코로나때 봉쇄정책을 펼치면서 
정책의 스텝이 약간은 꼬였다는 생각이 들죠 

그렇지만 최근들어 갑자기 
중국경제 이야기가 조금씩 나오고 있는데요. 
좋은소식으로 언급됐는지 나쁜소식으로 언급됐는지 
이것을 확인해 볼까요? 


이것은 중국의 10년물 국채금리차트인데요. 
계속 떨어지더니, 
역사상 최저수준을 기록한 상황입니다. 
일반적으로 10년물 국채금리에는 많은것들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중국의 경제가 안좋기 때문에 
사람들이 주식이나 다른 투자자산을 사는게 아니라 
안전자산인 국채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국채금리가 낮아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중국의 물가 역시 떨어지고 있기 때문에 
향후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선제적으로 국채금리가 낮아진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경제측면에서는 국채금리가 오르락내리락 하지 않고 
이렇게 한방향으로 쭉 내려오는 것은 매우 좋지 않습니다. 
그냥 경제가 쭉 안좋다는 의미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지난주에 이런 자료가 하나 나왔습니다. 

중국과 일본의 장기 국채금리가 서로 크로스 됐다는 소식입니다. 
일본경제는 최근에 나쁘지 않습니다. 
그러면서 일본의 물가가 오르는 중이고요. 
이와함께 물가를 오히려 누르기 위해서 
일본 중앙은행에서는 금리인상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본의 장기 국채금리는 상승하는 중이고요. 
반대로 중국의 경제는 매우 별로 좋지않죠 
이와함께 국채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중이고요. 

잃어버린 40년으로 불렸었던 
일본의 장기국채 금리를 하향 돌파할 정도로 
중국경제가 심각하게 안좋다는 것을 보여준게 바로 이 차트라고 봅니다. 


중국은 부동산으로 쌓아올린 나라라고 표현해도 과언이 아닐텐데요. 
올해 5월달에 발표된 중국의 부동산 부양책으로 
부동산이 어느정도 회복하는듯 싶더니, 
다시 거래량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것저것 다 풀어줘도 사람들이 돈이 있어야 사는거지 
경제자체가 안좋기 때문에 부동산을 사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한국과 마찬가지로 중국에서도 
신축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있었는데요. 
그동안 신축 부동산 가격은 부동산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조금이나마 상승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신축가격 역시 아래로 하락해버렸습니다. 
진짜 중국의 경기침체가 몰려온다는 생각이 듭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부동산이 부진해도 
어차피 돈풀면 다시 오를수 있지 않냐 
이런 말을 하긴 하는데요. 
연도별로 아스팔트 장비가동률을 비교해보면 
2020년 코로나 이후 최저수준을 기록하고 있고 
좀처럼 올라갈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건축관련 업황이 개선될 기미가 없다는 것은 
앞으로 부동산이 회복될 기미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중국은 지금까지 부동산 관련된 주변산업이 성장하면서 
경제가 꾸준히 성장해 왔었는데요. 
그리고 부동산이 올라줘야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의 
소비심리가 개선되면서 경제가 성장하는 측면도 있습니다. 

연도별로 중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를 봐도 
지난 6년 동안의 평균수준을 현재에는 하회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이번 8월달 구매관리자지수는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요리보고 저리봐도 중국경제가 무너지고 있다는 것이 보이고 있는데요. 

한국도 요즘 경제가 좋진 않지만 
이를 수출을 통해서 돌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중국도 비슷하게 수출을 통해서 승부를 던지고 있는 중이죠. 
중국의 수출금액을 보면 내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 경제가 무너졌다는 말이 많이 있지만 
중국의 수출은 여전히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중국의 전기차가 전 세계적으로 잘나가는 중이고 
태무에서 가성비 상품을 잘 팔면서 
메이드 인 차이나는 나름 잘 나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고금리의 여파로 세계경제가 조금씩 둔화되고 있는 중입니다. 

특히 중국산 제품에 대해 거부감을 표시하는 나라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매년 여러 강대국들이 중국을 때려왔었는데요. 
2024년 들어서 때리는 강도가 더 세진 느낌입니다. 
전기차배터리 반도체 바이오 등 여러 항목에 대해서 
미국중심으로 서구 나라들이 손잡고 중국을 때리는 중입니다. 

한국도 소극적으로 중국 수출품목에 대해서 제재조치를 발표했습니다. 
한국까지 가세한 상황이니 전세계적으로 
그냥 중국을 때리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또한 환율도 무시할수가 없는데요. 
몇달전까지만 해도 위안화 약세로 인해서 
중국의 수출경쟁력이 높아져 있었는데요. 
지금은 오히려 위안화 강세흐름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는 수출에 매우 불리한 상황으로 가는 중이죠. 

위안화 환율은 그동안 높게 유지되면서 
중국의 수출에 큰 도움을 주고 있었는데요. 
하지만 최근 미국의 금리인하 확률이 높아지면서 
달러 약세와 함께 위안화 강세가 나오고 있는 중입니다. 
이는 중국에서만 보면 수출 물품가격 상승으로 인해서 
수출에 매우 불리해집니다. 

요즘 글로벌 경기 둔화 흐름이 나오고 있는데, 
수출물품 가격마저 오르게 되면 
중국에 타격이 있지 않을까요? 

그런데 반대로 위안화 강세 흐름이 나온다는 것은 
오히려 중국에서 미국으로 자금유출의 가능성이 
줄어든다는 것이기 때문에 중국입장에서만 보면 
조금 더 돈을 편하게 풀수 있지 않을까요? 
중국은 현재 하루빨리 돈을 풀어야만 하는 상황입니다. 
일반적으로 통화량과 생산자 물가지수는 큰 연관이 있습니다. 
생산자 물가지수가 떨어지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시중에 돈이 말라가고 있다는 것인데요. 

생산자 물가지수는 추가적으로 하락할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즉 중국입장에서는 돈이 말라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어떻게든 돈을 뿌려야만 하는 상황에 처해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중국이 지금까지 돈을 안푼것은 아닙니다. 
계속 지급준비율과 대출우대 금리를 낮추면서 
시중에 돈을 풀어왔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경제가 살아나고 있지 않죠 
그렇지만 지금은 막다른 코너에 몰렸기 때문에 
일본처럼 양적완화를 하든 무언가 특별한 정책을 투입해서 
돈을 제대로 풀어야 하는 시기가 오지 않았나 이런 생각이 듭니다. 
그렇지 않으면 과거 일본을 따라서 잃어버린 40년으로 들어가지 않을까요? 
하지만 여기에서 더 중요한게 하나 더 있습니다. 

중국에서 이렇게 돈을 풀어주면 
미국입장에서는 앞으로 돈을 풀기가 더 쉬워집니다. 
화폐가치라는 것은 상대적인 것입니다. 
만약에 중국에서 돈을 풀면서 중국화폐의 가치를 낮추면 
상대적으로 달러의 가치는 높아질수가 있거든요. 
그렇다면 미국입장에서는 돈을 풀어서 
달러의 가치를 낮출 여유가 생긴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많은 선진국들은 자국화폐 가치를 낮추는 것을 선호하지만 
자국의 화폐가치가 너무 떨어지면 문제가 되거든요. 

그런데 이렇게 중국에서 돈을 풀어주면 
달러는 자연스럽게 어느정도 강세로 갈수 있기 때문에 
미국입장에서는 편하게 돈을 풀어서 
편하게 달러를 낮출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지금 미국에서는 난리가 났습니다. 
이번 연준회의때 50BP 인하냐? 25BP 인하냐? 
이것 가지고 싸우고 있었는데요. 
이제는 50BP 인하를 당연하게 생각하는 모양입니다. 

지금 현재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는 비컷을 무조건 해야 되고 
만약에 연준에서 25BP 인하를 하게 되면 
경기침체를 막을수 없다는 분위기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게다가 비컷도 성에 안차서 미국의 민주당 상원의원들은 
75BP 인하도 주문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중국에서 돈을 앞으로 풀수 있기 때문에 
미국입장에서도 이런 식으로 편하게 금리인하를 하고 
편하게 돈을 풀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기본적인 물가레벨이 있기 때문에 엄청나게 편하게 풀지는 않겠죠. 
정말 세상이 요지경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오늘은 중국의 통화정책을 점검해보고 
앞으로 미국이 어떻게 흘러갈수 있을지 
이것도 함께 점검해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