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이야기

팔란티어(Palantir)의 빌더(Builder) 개념: 누구나 혁신의 주체가 될수있다

by 웨더맨 2025. 2. 16.
반응형

팔란티어(Palantir)의 빌더(Builder) 개념: 누구나 혁신의 주체가 될수있다

 

최근 빅데이터와 AI 기술의 발전으로 기업들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중요성을 깨닫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팔란티어(Palantir)는 데이터 분석과 의사결정 지원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특히 팔란티어는 빌더(Builder)라는 개념을 강조하며, 누구나 코딩 없이도 가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팔란티어의 빌더 개념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이 개념이 기업과 개인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 깊이 알아보겠습니다.


빌더(Builder)란 무엇인가?

팔란티어의 CTO인 샴 생커(Shyam Sankar)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소프트웨어의 잠재력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빌더라는 플랫폼이 필요하다."

빌더는 팔란티어의 플랫폼을 이용해 가치 있는 아웃풋을 만들어내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히 개발자뿐만 아니라, 고객사의 직원 누구나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간호사가 환자 데이터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거나, 마케팅 담당자가 고객 분석 도구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빌더가 되기 위한 조건

  1. 산업 지식: 자신이 속한 산업군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2. 창의성: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창의적인 사고가 중요합니다.
  3. 도전 정신: 기존의 틀을 벗어나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가 필요합니다.

 


코딩없이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시대

팔란티어의 개발자 컨퍼런스에 참석한 한 개발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코드 없이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는 시스템이 결실을 맺고 있다."

팔란티어의 플랫폼은 코딩 없이도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마치 도스(DOS)에서 윈도우(Windows)로 넘어가는 것과 같은 혁신입니다. 사용자는 복잡한 코드를 작성할 필요 없이,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팔란티어 AIP: 누구나 사용 가능한 플랫폼

팔란티어의 **AIP(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는 개인에게도 열려 있습니다. 현재 미국, 캐나다, 영국, 인도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예제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간호사가 환자 데이터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거나, 마케팅 담당자가 고객 분석 도구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왜 빌더 개념이 중요한가?

팔란티어가 빌더 개념을 강조하는 이유는 단순히 기술적 편의를 넘어서,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기 위함입니다. 이는 기업과 개인이 직면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데 있습니다.

1. 체제 정당화 이론과의 연결

책 **《오리지널스(Originals)》**에서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소개합니다.

  • 크롬을 사용하는 직원들은 익스플로러 사용자보다 더 오래 일하고, 업무 수행 능력도 뛰어났습니다.
  • 저소득층은 경제적 불평등을 당연시하며, 체제를 정당화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주어진 환경에 순응하는 사람들은 문제를 문제로 인식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반면, 환경을 바꿀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들은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려고 합니다.

2. 근시안적 문제 해결 vs 근본적 문제 해결

근시안적인 사람은 눈을 찡그려서 글씨를 보려고 합니다. 이는 주어진 환경 내에서 최선의 선택이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닙니다. 반면, 라식 수술을 통해 시력을 교정하는 것은 환경 자체를 바꾸는 것입니다.

팔란티어의 빌더 개념은 바로 이 점을 강조합니다.

  • 문제를 문제로 인식할 수 있는 능력
  •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도구와 역량

빌더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

팔란티어의 빌더 개념은 기업 내에서도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특히, **사이버네틱 엔터프라이즈(Cybernetic Enterprise)**를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1. 실시간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팔란티어는 기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으로 구현합니다. 이를 통해 실시간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가능해집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문제를 인지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2. 가짜 노동 vs 진짜 노동

팔란티어는 가짜 노동 진짜 노동을 구분합니다.

  • 가짜 노동: 중요한 문제를 건드리지 않고, 덜 중요한 문제만 해결하는 것.
  • 진짜 노동: 근본적인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것.

빌더로서의 능력이 없다면, 문제를 문제로 인식하지 못하고 환경으로만 치부하게 됩니다. 이는 결국 가짜 노동으로 이어집니다.


빌더의 사고방식: 피터 틸의 예시

팔란티어의 창업자 **피터 틸(Peter Thiel)**은 빌더로서의 능력을 극대화한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그는 단순히 기업을 창업하는 것을 넘어, 미국 정부를 변화시키려는 시도까지 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그의 측근인 **제이디 반스(J.D. Vance)**를 부통령으로 추천한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빌더의 사고방식

  1. 문제를 문제로 인식한다.
  2.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도구와 역량을 갖춘다.
  3. 환경을 바꾸려는 시도를 한다.

결론: 빌더가 되어라

팔란티어의 빌더 개념은 단순히 기술적 도구를 넘어,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빌더로서의 능력을 키우면, 우리는 더 많은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과 기업의 성장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팔란티어의 플랫폼은 이미 미국, 캐나다, 영국, 인도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전 세계로 확장될 가능성이 큽니다. 우리나라에서도 팔란티어의 플랫폼이 도입된다면, 다양한 산업에서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