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이슈

서울에서 미분양 아파트가 가장 많은 10곳 – 최신 분석

by 웨더맨 2025. 3. 21.
반응형

서울에서 미분양 아파트가 가장 많은 10곳 – 최신 분석

서울에서 내 집 마련을 고민하는 분들이라면 ‘미분양 아파트’에 관심이 가실 텐데요. 일반적으로 미분양 아파트는 수요가 부족하거나 가격이 너무 높아 거래가 원활하지 않은 단지들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반대로 ‘숨겨진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서울에서 미분양이 가장 많은 아파트 10곳을 살펴보며, 그 원인과 향후 전망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10위 – 구로구 오류동 ‘천왕역 모아일가 트레뷰’

  • 분양 시기: 2022년 8월
  • 평형대: 28평
  • 분양가: 8억 6천만원
  • 입주 시기: 2024년 7월 예정
  • 미분양 세대: 6세대

지하철 7호선 천왕역 도보 5분 거리의 입지와 가산디지털단지 직주근접이 장점이지만, 고분양가 논란으로 인해 현재까지 미분양이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9위 – 강북구 수유동 ‘칸타빌 수유 펠리스’

  • 분양 시기: 2022년 2월
  • 평형대: 32평
  • 분양가: 11억 4천만원
  • 입주 시기: 2022년 6월
  • 미분양 세대: 19세대

초기에는 216가구 중 198가구가 미분양될 정도로 고전했으며, 무려 4억 원 할인 분양에도 완판되지 못했습니다. 초등학교가 멀고, 동시기 분양된 다른 단지들과 비교해 가격 경쟁력이 낮았던 점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8위 – 구로구 가리봉동 ‘남구로역 동일 센타시아’

  • 분양 시기: 2022년 8월
  • 평형대: 17평
  • 분양가: 5억 7천만 원
  • 입주 시기: 2023년 6월
  • 미분양 세대: 21세대

7호선 남구로역이 가깝고, 구로·가산디지털단지 직주근접 입지지만, 주변이 오래된 주택 밀집 지역(벌집촌)이라 거주 선호도가 낮은 점이 미분양 원인으로 보입니다.


7위 – 강동구 천호동 ‘천호역 마이스트로’

  • 분양 시기: 2023년 10월
  • 평형대: 18평
  • 분양가: 9억 1,200만 원
  • 입주 시기: 2024년 3월
  • 미분양 세대: 21세대

천호역 5호선·8호선 더블역세권이지만, 작은 평수에 높은 분양가가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6위 – 양천구 신정동 ‘어반클라세 목동’

  • 분양 시기: 2023년 12월
  • 평형대: 23평
  • 분양가: 10억 4천만원
  • 미분양 세대: 31세대

목동 학원가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브랜드가 약하고, 가격이 높아 경쟁력이 낮았던 점이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5위 – 강동구 길동 ‘중앙 하이츠 강동’

  • 분양 시기: 2021년 12월
  • 평형대: 16평
  • 분양가: 7억 2천만원
  • 입주 시기: 2023년 4월
  • 미분양 세대: 32세대

강동성심병원 및 강동구 중심상권이 가까운 장점이 있지만, 소형 평형 위주의 구성과 가격 대비 입지 경쟁력이 낮은 점이 원인으로 보입니다.


4위 – 구로구 개봉동 ‘호반서밋 개봉’

  • 분양 시기: 2023년 8월
  • 평형대: 34평
  • 분양가: 9억 후반
  • 입주 시기: 2023년 11월
  • 미분양 세대: 39세대

경쟁 단지 대비 브랜드 인지도와 입지가 부족한 것이 미분양 요인으로 꼽힙니다.


3위 – 도봉구 창동 ‘창동 다오 아트리체’

  • 분양 시기: 2022년 5월
  • 평형대: 24평
  • 분양가: 8억
  • 미분양 세대: 52세대

4호선 쌍문역 도보 5분 거리에 있지만, 주변 인프라 부족과 경쟁 단지 대비 상품성이 부족했던 점이 미분양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2위 – 강서구 화곡동 ‘화곡 더 리브스카이’

  • 분양 시기: 2022년 11월
  • 평형대: 23평
  • 분양가: 5억 중반
  • 미분양 세대: 94세대

1억 원 할인에도 불구하고 주변 환경이 낙후되고, 교통 접근성이 좋지 않은 점이 미분양 주요 원인입니다.


1위 – 동대문구 이문동 ‘이문 아이파크 자이’

  • 분양 시기: 2023년 10월
  • 평형대: 34평
  • 분양가: 12억대
  • 입주 시기: 2024년 11월
  • 미분양 세대: 118세대

이문희경 뉴타운의 대단지 아파트지만, 3단지의 위치가 다소 애매하고 가격이 부담되는 점이 원인으로 보입니다.


마무리하며 – 서울 미분양 시장 전망

현재 서울 미분양 아파트는 고분양가, 입지 경쟁력, 브랜드 파워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단지들은 가격 조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고, 일부는 추후 입주 후 가치가 상승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