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이야기65 해외감동사연 아이와 함께 한국병원갔던 프랑스 엄마의 한국 정착 스토리 해외감동사연 아이와 함께 한국병원갔던 프랑스 엄마의 한국 정착 스토리 저는 프랑스 동남구 해안가 주변에 위치한 모나코라는 공국에서 온 카밀라라고 합니다. 저는 프랑스에서 태어나 프랑스에서 자란 뼈속부터 프랑스인인데요. 프랑스 대학으로 유학을 온 모나코 출신의 남편과 만나서 결혼을 하게 되면서 모나코로 건너가 살게 되었습니다. 또 결혼한지 얼마 되지 않아 남편과의 사이에서 사랑스러운 아들까지 얻었죠. 아들이 태어났을 때는 세상을 모두 얻은 것 같았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태어난지 얼마 되지않아 저희 부부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을 듣게 되었어요. 바로 아이의 신장에 문제가 있다. 저희는 의사에게 아이의 몸이 정상으로 회복될 가능성을 물었습니다. 그리고 의사는 가능성이 없는건 아니지만, 매우 희박합니다라고 대답했.. 2024. 4. 7. 중국반응 중국이 서둘러 삭제한 영상 경제대국, 한국을 뛰어넘었다는 중국의 현실 중국반응 중국이 서둘러 삭제한 영상 경제대국, 한국을 뛰어넘었다는 중국의 현실 2020년 7월 중국에서 43부작으로 방영된 '겨우, 서른'은 상해를 배경으로 30살을 앞둔 세여자의 일과 가정 그리고 사랑을 그려 중국에서 크게 히트한 드라마입니다. 드라마 겨우 서른에서 여주인공은 시골에서 상경해 명품매장에서 근무하는 평범한 노동자로 설정되어 있는데, 그녀의 극중 한달월급은 1만5000위엔 한화로 약 270만 원입니다. 평범한 판매원인 그녀가 사는 집의 월세는 무려 150만원 매달 시골에 있는 부모에게 37만원을 보내는 것도 잊지 않지만 어찌된 영문인지 그녀가 극중 먹고 마시던 모든 것들은 화려하기 그지없습니다. 기분이 꿀꿀하면 언제든 여행을 떠나며 여행에 필요한 120만원짜리 고급 하이힐도 거침없이 구매.. 2024. 4. 5. 중국반응 중국 시사프로그램에서 뇌정지 온 중국상황 중국반응 중국 시사프로그램에서 뇌정지 온 중국상황 중국은 한족을 제외한 모두 55개의 소수 민족이 살고 있는 다민족 국가입니다. 중국정부의 소수민족 정책은 본래 소수민족의 자치권을 보장해주는 즉 그들의 언어 문화 풍습 등을 그대로 인정해 주는 다원주의를 고수해 왔습니다. 하지만 소련이 해체될 무렵 소수민족의 민족의식이 강화되고 자유와 평등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자 중국 정부는 갑자기 소수민족정책을 한족에 동화시키는 동화주의로 전환하기 시작합니다. 중화민족 다원일체 구조 쉽게 말하면 최상층에는 자신들인 한족이 있고 그 아래 하층에는 55개 소수민족이 있으니 우리 한족이 주동적인 역할을 할테니까. 너희 소수민족들은 한족에 동화되어 그대로 따라오기만 하면 된다는 정책을 고소하기 시작합니다. 한족은 이렇듯 소수민.. 2024. 4. 4. 라오스 은행이자로 먹고사는 나라 라오스 여행시 참고 라오스 은행이자로 먹고사는 나라 라오스 여행시 참고 라오스는 은행에 돈을 맡기면 어느정도의 이자가 붙을까요? 오늘은 라오스 5대 은행의 금리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그럼 같이 알아보시죠. 첫번째 은행은 라오스 최대은행이자 대표은행인 BCL입니다. 빨간색이 상징이며 라오스 전국에 가장 많은 은행 중 하나인데요. 1975년부터 라오스의 근현대역사를 함께한 은행입니다. 지분의 70%를 라오스 재정부가 차지하는 라오스정부와 함께하는 은행인만큼 시중은행 중 가장 안정성이 높은 편입니다. 라오스어로는 타나칸 깐카라고 불리고 있고요. 사실 현지인들은 BCL이라는 이름은 거의 쓰지 않습니다. 라오스 은행의 저축형태는 보통예금과 정기예금 두가지로 구분되는데요. 입출금이 자유로운 보통예금은 라오스화폐인 낍,US달러, .. 2024. 4. 4. 이전 1 2 3 4 5 6 ··· 17 다음